본문 바로가기

알만툴 제작 강의부실/MV

[MV]알만툴 구조 탐색 ① - 가장 상단 메뉴편

스크립 : 오늘은 알만툴의 구조를 뜯어보자.

플러그는 재미가 없다면서 오늘은 안왔어.

 

이 강의는 RPG 메이커 1.6.3 스팀판을 기준으로 설명해.

네가 알만툴을 처음 사서 프로그램을 킨다면 신규프로젝트를 만들게 될거야.

 

이게 신규 프로젝트 창이야.

게임을 하나 만들때 마다 이걸 작성해야 돼.

하나하나 무슨 내용을 적어야 하는지 알려줄게.

 

이름 : 게임 프로젝트의 파일 이름이야. 여기서 아무 이름이나 적어도 게임 타이틀엔 반영되지 않아.

게임 타이틀 : 게임 타이틀에 표시될 제목이야. 마찬가지로 게임 프로젝트 파일엔 반영되지 않아.

위치 : 파일을 어느 곳에 놓을지를 정하는 칸이야. 옆에 선택 버튼을 눌러서 저장 위치를 정할 수 있어.

기본적으로 위치가 정해져 있는데, 만약 그 위치가 꽉 찼다면 다른 위치에 파일을 설치해야 돼.

여담으로 기본 파일의 용량은 약 380MB야.

 

항목을 다 작성했다면 OK를 눌러서 툴을 켜보자...

 

이게 RPG 메이커를 실행했을때에 창이야.

 

상당히 많은 버튼들이 보이지만, 오늘은 맨 위에 있는

이 메뉴부터 하나씩 알아보자.

일명 최상단 메뉴. 너무 작아서 존재감이 별로 없어.

 

 

잠깐! 들어가기 전에, 꼭 알아야 할 단어가 있어.RPG 메이커에선 코드를 주로 쓰는 대신에 간단한 기능을 이용해서 게임을 만들어.첫번째로 알아야 할게 이벤트야.

 

이벤트란,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투명한 블럭이야. 이벤트에 넣고 싶은 일을 넣으면 작동돼.

간단히 예를 들자면 블럭코딩에서 블럭이랑 비슷한 기능을 해. 블럭코딩이 무엇인지 모르면 검색해봐.

 

다음은 스위치, 이벤트에 넣을 수 있는 일 중에 하나야. 이름처럼 끄고 킬수 있는 스위치 역할을 해.

보통 다른 기능과 같이 써서 조건의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아.

 

마지막 변수, 변수는 프로그래밍에서 주로 쓰는 건데, 이름 그대로 변하는 수 라는 뜻이야.

이것도 스위치처럼 주로 조건의 역할을 해. 

 

이것만으로 게임을 만들 수 있다니 신기하지 않아?

 

좋아, 이해가 됐으면 이제 본격적으로 시작해보자.

 

1. 파일

 

프로젝트의 신규 작성 : 현재 프로젝트를 끄고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들어. 이 버튼을 누르기 전에 전 프로젝트를 저장하지 않았다면 저장버튼이 떠.

프로젝트 열기 : 파일을 열어서 게임 프로젝트를 열 수 있어.

반드시 이렇게 생긴 파일만 열 수 있다는 점 기억해.

 

현재 프로젝트 닫기 : 현재 프로젝트를 닫아서 빈 화면으로 만들어.

만약 게임을 만들다가 무언가가 잘 안되거나 오류가 난다면, 알만툴을 끄지말고 이 기능을 사용하는게 좋아.

껏다 켰다 하는거 불편하잖아.

 

프로젝트 저장 : 프로젝트를 저장해. 저장할땐 아무런 표시도 안 되니까 확실히 저장되었는지 확인하자.

 

배포 : 게임을 배포할 수 있어. 배포가 뭐냐면 게임 파일을 생성하는거야. 이 파일을 사람들에게 공유해서 다른 사람들이 네 게임을 플레이 하게 할 수 있어.

이게 배포를 눌렀을때 나오는 화면이야.

 

플랫폼 : 배포할 플랫폼을 선택하는 창이야. 원하는 플랫폼으로 선택해.

 

옵션 - 사용하지 않은 파일을 제외 : 사용하지 않은 파일을 제외하고 배포 파일을 만들어.

주의할게 있는데, 만약 플러그인에서 이미지나 음원파일을 썼는데, 사용하지 않은 파일을 제외 옵션에 체크를 하면 사용하지 않은 파일 처리가 되어서 삭제된채로 배포되니까, 조심해.

 

암호화 : 파일을 암호화해서 배포하는 기능이야. 암호화는 사람들이 게임에 쓴 파일들을 못 보게 암호를 거는 기능이야.

하지만 보안이 확실하진 않아. 뚫는 사람이 몇몇 있다는 소리야. 그래도 일반인 상대로는 안전하니까 사용하는걸 추천해.

 

이미지 파일에 체크를 하면 이미지 파일을 암호화하고,

오디오 파일에 체크를 하면 오디오 파일을 암호화 해.

둘다 체크 할 수 있고.

 

암호화 키 : 암호화 키를 직접 설정할 수 있어. 암호화 키만 알면 암호화를 뚫을 수 있거든.

 

출력 위치 : 배포파일을 설치할 곳을 정할 수 있어. 게임 프로젝트를 만들때와 같이 선택 버튼을 눌러서 위치를 정해.

 

 

스팀 관리 : 게임을 스팀에 배포할 수 있어.

이런 화면인데, 이 기능은 나중에 알아보자.

우린 스팀에 게임을 출시한 적도 없으니깐...

 

RPG Maker MV 종료 : 툴 자체를 끄는 기능이야.


 

2. 편집

실행 취소 : 행동을 한 단계 이전으로 돌리는 기능이야.

 

잘라내기 : 이벤트를 삭제와 동시에 복사하는 기능이야.

 

복사 : 말 그대로 복사,

 

붙여넣기 : 붙여넣기야.

 

삭제 : 이벤트를 삭제하는 기능이야.

 

찾기 : 이벤트의 이름이나 이벤트에 써놓은 메모를 검색해서 찾는 기능이야. 이벤트가 많을 때

원하는 이벤트를 찾을때 유용해.

 

다음 찾기 : 찾기 기능에서 단어를 입력한 후에 이 버튼을 누르면 맵 왼쪽 상단 위를 기준으로 오른쪽 아래로 이동하면서 찾는 기능이야.

 

이전 찾기 : 찾기 기능에서 단어를 입력한 후에 이 버튼을 누르면 맵 오른쪽 하단 위를 기준으로 왼쪽 위로 이동하면서 찾는 기능이야.


3. 모드

지도 : 맵 타일을 배치할 수 있는 모드로 전환해.

이벤트 : 이벤트를 배치할 수 있는 모드로 전환해.

 

이 기능은 추후 아래에 있는 버튼으로도 할 수 있어.


 

4. 그리기

맵을 그릴 때 사용하는 메뉴야.

 

연필 : 맵을 한 칸씩 그릴 수 있어.

직사각형 : 클릭 후 드래그하면 직사각형이 그려져.

타원 : 클릭 후 드래그하면 타원이 그려져.

채워서 칠하기 : 클릭 한번으로 테두리 안을 채울 수 있어.

그림자 그리기 도구 : 맵을 더 입체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검은 반투명의 그림자 도트를 그릴수 있어.

다른 툴과 다르게 한번 더 클릭하면 지울수 있어.


5. 배율

확대 : 맵 화면을 확대할 수 있어. 컨트롤 + 마우스 휠을 뒤로 돌려도 할 수 있어.

축소 : 맵 화면을 축소할 수 있어. 컨트롤 + 마우스 휠을 앞으로 돌려도 할 수 있어.

실제 크기 : 화면에 맞게 맵 화면을 조절해.

 


6. 도구

 

주로 쓰게 될 도구 창인데, 자세한건 나중에 설명해줄게.

 

데이터 베이스 : 게임에서 쓸 데이터 베이스를 여는 버튼이야.

플러그인 관리 : 플러그인 관리 창을 여는 버튼이야.

사운드 테스트 : 게임 파일 안에 있는 음원들을 들을 수 있는 창을 여는 버튼이야.

이벤트 검색 : 2번 항목 편집 메뉴에서 찾기와 다르게, 이벤트 검색 메뉴는 이벤트 이름 뿐만 아니라

스위치나 변수가 어디, 어느 이벤트에서 쓰였는지를 찾을 수 있어.

 

어떤 스위치가 있다고 했을때, 검색 버튼을 누르면 이 스위치가 어느 이벤트에서 사용됐는지 알려줘.

 

검색 결과는 이런 정보를 담고 있어.

지도 : 001 번 맵 : (맵 이름)

이벤트 : 001 번 이벤트 : (이벤트 이름) 

페이지 : 이벤트 페이지

위치 : 이벤트의 맵 위치

 

이벤트가 많을때 사용하는게 좋아.

 

 

캐릭터 생성 : 프리셋으로 캐릭터를 만드는 창을 띄우는 메뉴야.

뭔가 많이 보이지만, 이것도 나중에 설명해줄게.

 

 

자원관리 : 게임 파일에 있는 요소들을 관리할 수 있어. 이미지나, 오디오, 타일셋 같은거.

 

스팀에 있는 DLC도 여기서 관리 할 수 있어.

 

 

RPG 만들기 MV 도구 : 툴에 부가적인 기능을 추가 할 수 있는 창이야.

여기는 스팀에서 DLC로 파는 툴을 넣을 수 있어.

 

이런거.

게임을 쉽게 디자인 할 수 있게 해주는 툴이나, 이벤트 관리를 쉽게 해주는 툴이 있어.

 

옵션 : 툴에 관한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창이야.

투명 색깔 : 맵 화면에서 타일셋이 안 깔려 있거나, 이미지가 없을 때는 체크무늬 판으로 투명하다고 표시되는데, 이를 더 잘 보이게 색을 정할 수 있어.

 

격자 지도 : 두꺼운 선의 격자를 표시 할 수 있어.

이런식으로 말이야.

 

끄고 킬수도 있어.

(가로 글자가 겹쳐서 표시되어있네...)

 

알림 : 알만툴 업데이트 사항이나 공지사항을 보거나 툴을 켰을때 공지를 띄우냐 안 띄우냐를 설정할 수 있어.

그런데 툴을 킬때마다 공지가 나오지 않고, 무언가가 새로 업데이트 되면 뜨니까 해제하지 않아도 무방해.

이 내용은 스팀 창에서도 볼 수 있어.

 

UI

테마 : 툴의 테마를 바꿀 수 있어.

이런식으로.

 

원하는 테마로 설정해봐.

내 생각인데, 기본, 다크 말고는 별로인것 같아.

뭐 원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오브젝트 선택 : 이 기능은 나도 잘 모르겠어. 뭘 선택해도 뭔가가 변하지 않아.

혹시 이 기능에 대해 알고 있는 사람은 댓글로 알려줘! 좋은 정보가 될거야.


7. 게임

플레이 테스트 : 게임을 실행시킬 수 있어.

폴더 열기 : 게임 폴더를 열 수 있어.


8. 도움말

목차 : RPG 메이커에 대해 적혀있는 문서 페이지를 볼 수 있어.

영어로 되어 있지만, 

[K]RPG Maker MV/매뉴얼 한글화

이 블로그에 가면 한글로 볼 수 있어!

정말 도움되는 블로그야.

 

튜토리얼 (Tutorial) : RPG 메이커의 튜토리얼을 진행할 수 있어.

단계가 엄청 많은데, 다 영어로 되어있어.

그래도 영어를 읽을 수 있는 사람은 해보면 좋아.

 

그런데 실수로 튜토리얼을 실행시켰다면, 다시 도움말 메뉴를 열어서 Stop Tutorial 을 누르면 중단할 수 있어.

 

버전 정보 : RPG 메이커의 버전 정보와 저작권을 알려줘.

 


 

여기까지 최상단 메뉴에 대해서 알아봤어. 긴데도 끝까지 따라와줘서 고마워.

다음에는 그 아래에 있는 상단 메뉴에 대해서 알아보자.

 

안녕.